
Lee Yiheon
Boundary Works, 2020
Material 1: Polyester
Material 2: Synthetic Fabric
Technique: Digital Textile Printing
dldlgjs1133@naver.com
©︎2020 Lee Yiheon. All Rights Reserved.



In this trend, the
state that my characteristics do not overlap with others is considered the most
ideal.

©︎2020 Lee Yiheon. All Rights Reserved.
Living in the era where
differenc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value, we always draw boundary and
distinguish ourselves and others based on our own beliefs and identity in order
to exist as independent beings. In this trend, the state that my
characteristics do not overlap with others is considered the most ideal.
In order to describe how we live in this era, the improbable elements are simultaneously used in one scene using textile patterns and silhouettes.
I focused on the novelty of the visual collision that occurred at the boundary.
다름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시대에서 우리는 독자적인 존재로 나아가기 위해 신념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자신과 타인을 항상 경계 짓고 구분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는 나와 타인의 캐릭터에 있어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진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패션으로 표현하기 위해 텍스타일 패턴과 실루엣 등을 이용해 개연성이 상실된 요소들을 한 장면에 동시에 담아내고, 이로 인해 경계에서 발생한 시각적 충돌이 보여주는 새로움에 주목하였다.
在一个重视“差异”的时代,我们为了走上独立的道路,经常以信念和本质为基础,区分自己和他人。在这类潮流中,在性格上我与他人不存在交集的状态被认为是最理想的。为了通过时尚来表现我们现代的生活方式,利用纺织图案和轮廓,把失去可能性的元素呈现在一个场景,并关注由此在边界上发生的视觉冲突给予我们的新鲜感 。
In order to describe how we live in this era, the improbable elements are simultaneously used in one scene using textile patterns and silhouettes.
I focused on the novelty of the visual collision that occurred at the boundary.
다름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시대에서 우리는 독자적인 존재로 나아가기 위해 신념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자신과 타인을 항상 경계 짓고 구분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는 나와 타인의 캐릭터에 있어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진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패션으로 표현하기 위해 텍스타일 패턴과 실루엣 등을 이용해 개연성이 상실된 요소들을 한 장면에 동시에 담아내고, 이로 인해 경계에서 발생한 시각적 충돌이 보여주는 새로움에 주목하였다.
在一个重视“差异”的时代,我们为了走上独立的道路,经常以信念和本质为基础,区分自己和他人。在这类潮流中,在性格上我与他人不存在交集的状态被认为是最理想的。为了通过时尚来表现我们现代的生活方式,利用纺织图案和轮廓,把失去可能性的元素呈现在一个场景,并关注由此在边界上发生的视觉冲突给予我们的新鲜感 。